전체 글(46)
-
서구적 가치?
합리주의, 과학적 방법론, 객관적 사고 이런 것들을 서구적 가치, 서구적 사고방식이라고 부릅니다. 저는 이것이 폄훼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합리주의, 과학적 방법론, 객관적 사고, 근대성 이렇게 망라하기는 너무 길기 때문에 간단히 합리주의라고 부르겠습니다.) 합리주의는 보편성을 가집니다. 보편성에는 동양이고 서양이고 구분이 없습니다. 합리주의와 과학적 방법론, 객관적 사고는 그 시작이 서양일뿐 서양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인류보편의 가치입니다. 보편적인 가치를 국지적인 것으로 격하하는 것은 그것을 상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만듭니다. 이런 시도는 틀린 것을 다른 것으로 옳은 것을 부분적으로 옳은 것, 주관적으로 옳은 것으로 왜곡시킵니다. 예를 들어서 중국인들은 스스로가 대단히 민주적이라고 생각한다고..
2022.01.09 -
다름과 틀림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에요"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자주 나오는 말이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는 다른 나라와 달리 다름에 대한 존중이 없다고 말들을 한다. 다른 것을 틀린 것으로 혼동하지 않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반대는 어떨까? 틀린 것을 다르다고 주장하는 것 말이다. 요즘 틀린 주장을 다르다고 포장하는 사람을 더러더러본다. 포스트모더니즘, 다양성, 상대주의, 주관성 딱 집어서 말하긴 그렇지만 대체적으로 비슷한 분위기의 조류가 있다. 이러한 것들이 올바른 것으로 수십년간 믿어져왔다. 덕분에 명백히 틀린 것을 다르다고 왜곡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사회가 되었든 개인이 되었든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는 없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실에 대한 파악, 맞고 틀림에 대한..
2021.10.08 -
[책]파워블로그의 첫걸음, 블로그 글쓰기
파워블로그의 첫걸음, 블로그 글쓰기 지은이 : 이재범 펴낸곳 : 도서출판 평단 책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다보면 책에 나오는 그 문장보다 더 좋은 표현을 찾지 못하여 책의 내용을 그대로 발췌해서 쓰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내가 책을 소화하여 내 생각과 내 표현으로 글을 쓰고 싶은데 실패하는 것이다. 어떻게 좋은 방법이 없을까 하는 생각에 일단 사서 읽게 된 책이다. 책 전체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제일 중요한 것은 일단 쓰라는 것이다. 지금껏 나는 지식이 부족하다 생각해서 글을 쓰려고 자리에 앉는 일 자체가 적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책에 없는 내용이지만) 혹시 내가 아는 것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걸레를 짜듯 짜내는 노력이 부족한건 아니었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은 형체가 없어서 글을 쓰..
2021.09.30 -
[책] 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지은이 : 데이비드 헬펀드 옮긴이 : 노태복 펴낸곳 : 더퀘스트 보통 과학자처럼 생각한다는건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사고한다는 의미이다. 얼마전에 불행피하기 기술에서 보았던 심리적 기술들처럼 합리적으로 생각하기 위한 기술들에 대해서 설명한 걸로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읽어보니 의외의 것들을 지적해내고 있었다. '숫자를 다루는 법'에 관한 것들이었다. 큰 수에 대해서 가늠하는 법 간단한 계산으로 대략적인 스케일을 알아내는 법 그래프를 그리는 법 확률 통계 3, 4, 5는 중고등학교 때 배운 내용과 똑같은 것이다. 다만 그것을 일상에 적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1 큰 수에 대해서 가늠하는 법은 다른 경우로 치환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태양과 지구의 거리와 크기는 테니스공과 모래알이 7..
2021.08.13 -
[책 리뷰]수학의 확실성 : 불확실성 시대의 수학
수학의 확실성 : 불확실성 시대의 수학 원제 : Mathematics : The Loss of Certainty 지은이 : 모리스 클라인 옮긴이 : 심재관 펴낸곳 : 사이언스북스 "수학은 엄밀한 추론의 최고봉이고 그 자체가 진리인 동시에 자연의 짜임새에 관한 진리라고 여겨졌다. 그러한 가치 부여가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해서 깨닫게 되었는지, 그리고 수학을 바라보는 현재의 시각은 어떠한지가 이 책의 주제이다. " 이런 주제 의식을 갖고 수학사 전체를 조망하는 내용이다. 수학사 전체를 조망하면서 수학이 경험에서 비롯되었다는 추상적이고 절대적인 확실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증거들을 수집하는 만큼 내용이 방대하다. 그 중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추려내면 다음과 같다. 1.경험과 무관한 절대적인 진리의 수학을 구..
2021.07.30 -
[책 리뷰]불행피하기 기술
불행 피하기 기술 지은이 : 롤프 도벨리 옮긴이 : 유영미 펴낸곳 : (주)인플루엔셜 요즘과 같은 온라인게임의 시대에는 잘 들리지 않는 말이지만 과거 비디오게임 특히 일본식 rpg게임이 세계를 휩쓸던 때는 공략집, 메뉴얼과 같은 말들이 흔하게 들렸다. 우리의 인생에도 그런 공략집이 있을까? '불행피하기 기술'을 보면 인생에도 공략집이 있어 보인다. 52가지나 되는 전략(저자는 생각의 도구라고 하지만 나는 전략이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이 소개 되었지만 책의 볼륨은 그다지 크지 않다. 그리고 허투루 여길만한 부분이 하나도 없을만큼 내용이 알차다. 모든 내용이 중요하고 가치 있지만 특히나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몇가지만 소개해보려고 한다. 1.문제해결의 방식 완벽한 설정은 없다 / 수정의 기술 세상..
202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