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9. 19:54ㆍ노트
합리주의, 과학적 방법론, 객관적 사고
이런 것들을 서구적 가치, 서구적 사고방식이라고 부릅니다. 저는 이것이 폄훼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합리주의, 과학적 방법론, 객관적 사고, 근대성 이렇게 망라하기는 너무 길기 때문에 간단히 합리주의라고 부르겠습니다.)
합리주의는 보편성을 가집니다. 보편성에는 동양이고 서양이고 구분이 없습니다. 합리주의와 과학적 방법론, 객관적 사고는 그 시작이 서양일뿐 서양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인류보편의 가치입니다. 보편적인 가치를 국지적인 것으로 격하하는 것은 그것을 상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만듭니다.
이런 시도는 틀린 것을 다른 것으로 옳은 것을 부분적으로 옳은 것, 주관적으로 옳은 것으로 왜곡시킵니다.
예를 들어서 중국인들은 스스로가 대단히 민주적이라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중국은 중국식 민주주의를 하고 미국은 미국식 민주주의를 한다고 합니다.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국민이 권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하며 그러려면 자유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 민주주의는 정의상 부합하지 않는 넌센스죠.
민주주의라는 보편적 가치에 중국식, 미국식의 지역적인 색깔을 입히려는 것은 중국이 보편적인 가치를 지역적 상대적 가치로 격하시키려는 의도가 숨어있습니다.
이런 연장선 상에서 유튜브와 같은 매체를 통해서 동양의 신비로운 정신문화를 강조하면서 사실과 맞지 않는 소리를 하는 사람들 중에서 합리주의를 서구적 가치, 즉 서구라는 지역에 한정된 가치로 격하하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걸 볼때는 그냥 한심스러울 뿐이지만 밑에 동조하는 댓글들까지 보면 참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름과 틀림 (0) | 2021.10.08 |
---|---|
두 가지 평등 (0) | 2021.06.14 |
과학을 연구하는 이유 (0) | 2021.06.06 |
나는 이해하고 있는 걸까? (0) | 2020.08.10 |
학교 공부는 왜 하는 걸까? (0) | 2020.07.10 |